제4장

생활문화 전문기업 ‘깨끗한나라’로 거듭나다 (2009~2014)

  • 2009년 대한펄프는 전문경영인 체제를 구축하고 ‘깨끗하고 건강한 생활문화 창출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을 내용으로 하는 ‘비전 2015’를 선포했다. 이어 2011년에는 창사 45년만에 사명을 ‘깨끗한나라’로 변경하는 결단을 내렸다. 깨끗함을 추구하는 기업철학과 업의 특성, 그리고 생활문화기업을 향해 나아가는 회사의 비전에 가장 적합한 이름이었다. 사명 변경을 계기로 신 CI를 발표하고 새로운 각오로 제2의 도약을 준비했다.
    그 신호탄은 여성 생리대 ‘순수한면’이 쏘아 올렸다. ‘순수한면’은 ‘깨끗한나라’에 이어 탄생한 또 하나의 명품 브랜드였다. 소재 건강성을 중시하는 니치고객에 집중해 개발한 제품이 바로 100% 순면 커버 생리대 ‘순수한면’이었다. 또 ‘매직스’를 대체하는 생리대 브랜드 ‘릴리안’을 론칭하고 제품 라인업을 강화했다. 덕분에 생리대의 시장점유율이 10%대로 올라서며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비전 2015에 의거하여 효율적 업무시스템 확립과 적정규모 투자계획도 실행에 옮겼다. 2011년 1월 ERP 시스템을 오픈하고 이어 BW, EIS, 구매포털시스템 등을 구축했다. 이로써 경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해져 업무혁신은 물론 경쟁력이 한층 강화됐다.제품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설비 증설도 추진했다. 세계 최고의 생산라인을 자랑하는 제지 3호기를 업그레이드했으며, 생활용품 설비도 대거 증설해 2010년부터 화장지 가공 3호기 설비 개조를 시작으로 기저귀 5호기, 화장지 가공 5호기, 생리대 6호기, 화장지 초지 5호기 및 가공 6호기를 차례로 준공했다. 국내 최대 규모의 고형연료 사용시설도 준공했다.
    경영혁신과 설비 증설로 재무장한 깨끗한나라는 제지업계의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제지 3호기의 스피드 업을 통한 원가경쟁력 개선과 생활용품사업의 확대, 그리고 수출시장 다변화를 꾀했다. 특히 생활용품사업이 선전했다. 온라인 시장이 커지면서 생활용품의 매출이 크게 올랐고, 아기물티슈 보솜이가 홍콩 등 중화권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제지사업에서도 아이보리 지종이 FDA로부터 안전성을 인정받으며 더 넓은 수출 길이 열렸다. 이처럼 깨끗한나라는 30개국이 넘는 국가에 수출하는 산업용지와 더불어 생활용품의 수출 확대에 나서며 글로벌 브랜드의 입지를 다져 나갔다.

    49. 제지 3호기의 스피드업 추진과 생산능력 확대 2013~2015

    깨끗한나라는 2012년 제지 3호기의 생산능력 증대를 위한 투자 마스터 플랜을 수립했다. 1999년 세계 최대 규모이자 성능을 가진 제지 3호기를 준공했지만 10년 이상이 지나면서 제지 생산량을 증대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국내시장은 백판지의 수입량이 크게 늘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실제로 2012년 8만 1,656톤이던 수입 백판지는 2013년 10만 1,183톤, 2014년 14만 4,607톤으로 늘어나 연평균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더욱이 엔저 현상의 지속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타결로 수입지의 증가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원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설비의 업그레이드가 절실했다. 그렇다고 생산성이 더욱 좋은 신규 설비를 도입하기에는 예상되는 투자비용이 지나치게 높았다. 따라서 투자 효율성이 양호한 제지 3호기에 적정 규모의 투자를 통해 2015년까지 생산량을 기존 대비 25% 증대하기로 했다.


    준공 당시의 제지 3호기(1999)

    제지 3호기의 생산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원질은 표면과 심면, 이면 및 후면 순으로 진행하고, 초지기는 감속기 교체와 관련 시스템을 수정하기로 했다. 또 포머 및 드라이어 개선과 리와인더 증설을 진행하고, 카타를 신설해 부족한 재단능력 해소와 외주가공비 절감을 꾀하기로 했다.
    먼저 각 공정별 투자 규모 및 효과 등을 고려해 단계별 계획을 수립했다. 첫해인 2013년에는 원질 표면 설비에 대한 펌프, 모터, 계장, 제어 및 배관 등 제반 설치공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SC마닐라 생산 시 고가의 펄프를 저가의 고지로 대체해 재료비를 절감했으며, 고효율 설비 설치로 전력비용도 줄였다. 스피드 업을 위해 감속기도 일본 고바야시 사의 설비로 교체했다. 이로써 제지 3호기의 스피드는 기존의 분당 515m에서 700m로 증속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도 수정했다. 이때 프레스 롤 모터, 드라이어 메인 모터 등 모두 72대 중 19대의 모터와 프로그램 제어장치인 마스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을 교체했다. 카타도 증설해 재단 규모가 800톤/일에서 950톤/일으로 확대됐다.


    제지 3호기(2020. 10)

    2014년에는 원질의 심면 캐파 증대와 함께 초지기의 포머와 드라이어 개선작업을 진행했다. 포머공정의 원료공급 능력 부족으로 스피드 업이 한계에 부딪치자 6대 중 3대의 포머용 팬 펌프를 교체해 용량을 높였다. 이로써 원료 공급능력이 크게 개선되고 스피드 업 시 지합과 탈수저하 문제가 해결됐으며 심면 원료 공급도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초지 점보롤 생산량 대비 부족한 밀롤 생산능력을 해소하고자 이탈리아 아셀리 사에서 리와인더를 도입해 790톤/일이던 점보롤과 리와인더 생산능력을 각각 988톤/일과 830톤/일으로 확대했다.
    이어 2015년 원질의 이면과 후면의 생산능력 증대를 끝으로 제지 3호기의 증설을 마무리했다. 이에 투입된 비용은 모두 202억 원으로, 이로써 2015년 기준 제지 3호기의 생산능력은 2012년 대비 24.8%가 증가한 월 2만 5,188톤으로 증가했다. 1호기와 2호기를 합하면 총 생산능력은 월 3만 8,117톤이었다.
    깨끗한나라는 제지 3호기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생산능력과 품질력을 한층 강화하며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실제로 2015년 상반기에만 20만 3,343톤으로 4.6%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