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사업다각화와 해외시장 개척으로 고도 성장하다 (1983~1996)-
1983년 대한펄프는 최병민 대표이사의 취임과 함께 새 시대를 열었다. 새로운 각오 아래 창업정신의 계승 발전과 함께 지속성장의 방안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1985년 금강제지를 인수하며 화장지사업에 뛰어들었다. 1986년 두루마리 화장지 생산에 이어 1987년 독자기술로 여성용 생리대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듬해 아기기저귀 생산으로 품목을 다각화했다. 이로써 대한펄프는 제지사업과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는 종합제지기업으로 변신했다.
제조 인프라의 정비에도 나서 의정부공장에 이어 1988년 1월 제지 1호기와 화장지 1호기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청주공장을 준공하며 도약의 발판을 구축했다. 이후 제조 인프라를 청주공장으로 단일화한다는 계획 아래 제지 설비는 물론 화장지 및 생리대 설비를 연이어 증설해 국제적 규모를 갖추고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를 견인했다. 내실도 기해 1989년 제지연구소를 설립, 최고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공급했다.
1991년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대한펄프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 최고의 종합제지회사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다졌다. 특히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에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1991년 선보인 여성 생리대 ‘매직스’와 1995년 순수 국산기술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아기기저귀 ‘보솜이’는 대한펄프의 기술력과 제품 개발력을 입증한 제품으로 출시 직후부터 소비자의 호평 아래 인기리에 판매됐다.
해외시장을 향한 도전도 멈추지 않았다. 원료 및 자금 확보와 수출 확대를 위한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1988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며, 중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자 홍콩사무소와 상해사무소를 설치했다. 중화권에서 인기를 구가하던 자체 브랜드 ‘화이트 호스’에 이어 1994년 ‘베스트 코트’를 론칭하고 일본시장에 진출해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했으며 이후 세계 20개 국가로 수출선을 넓혔다.
이처럼 고객만족을 위한 제품개발과 수출 확대에 힘써 1993년 생산성 대상에 이어 제지업계 최초로 5천만불 수출탑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대내외에 드높였다. 이는 최병민 사장의 리더십과 사훈 진실을 구심점으로 노사가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여 이룬 소중한 결실이었다.14. 미국 현지법인 대한펄프유에스에이 설립 1988
세계무대를 향한 대한팔프의 도전은 1970년대에서 1980년대로, 그리고 1990년대로 이어졌다. 물론 세계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갖춰야 할 몇 가지 전제조건이 있었다. 첫째, 해외정보를 신속하게 입수 · 정리 · 분석하고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힘, 둘째 펄프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자원국가와의 장기계약 체결 혹은 현지합작법인 설립 등의 대안, 셋째 공정의 합리화와 시설의 자동화로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를 꾀하며 신제품 개발로 수입제품을 대체하는 등의 경쟁력 강화, 넷째 주 수출지역인 동남아시아를 넘어 미주지역과 유럽 등 더 넓은 해외시장으로의 수출선 다변화가 바로 그것이었다.
그동안 제지업계는 기업의 개별적인 노력과 함께 업계 공동으로 수출 확대를 도모해 왔다. 1984년 한국제지연합회의 주축 아래 품목별 수출위원회를 구성하고 제지산업의 해외사업 확대를 모색한 것도 그 일환이었다. 이때 대한팔프도 신풍제지, 국제제지, 동창제지, 한창제지 등과 백판지 수출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출에 관한 제반 정보를 상호교환하는 등 수출 확대를 공동으로 모색하기도 했다. 특히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이후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가 널리 알려지자 국내 제지업계는 이를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 확대의 기회로 삼고자 했다. 전주제지, 무림제지, 신풍제지, 신호제지 등이 해외현지법인을 설립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대한팔프는 최병민 사장 체제 이후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수출 확대와 해외 진출을 주요 정책 중 하나로 삼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특히 1987년 수출시장 다변화에 따른 해외시장 개척 및 정보수집과 수입원자재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미국 LA에 해외사무소를 설치했다. 이후 LA지역을 중심으로 미주지역 바이어에 대한 다양한 수출 상담과 수입원자재의 직접 상담을 통한 양질의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활동을 진행했다.-
KleanNara USA 현판 -
KleanNara USA 사무실
이듬해 5월에는 LA사무소를 확대해 명실상부한 독립회사로서 미국 현지에 자본금 10만 달러의 대한펄프유에스에이(DAEHAN PULP USA INC.)를 설립했다.
미국 현지법인의 사업계획은 크게 세 개 부문이었다. 첫 번째는 국제원자재 시장을 파악하여 회사가 구매하고 있는 많은 원료를 좋은 품질과 적정한 가격으로 구입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세계 최고의 시장이자 금융시장인 미국 내 각 은행으로부터 금융지원을 받기 위한 것이었으며, 세 번째는 미주지역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한 것이었다.
미국법인은 LA사무소를 정비하고 현지인을 채용하는 등 인력을 꾸려 업무를 개시했다. 현지에서의 사업은 언어 소통의 어려움, 문화와 제도적 차이 등 극복해야 할 점이 많았지만 모기업의 건실한 기업방침과 지원을 토대로 착실히 길을 닦아 나갔다. 무엇보다 진실과 신용으로 모든 비즈니스에 임했다. 미국은 신용사회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개인이나 회사 간 신용을 인정받지 못하면 어떠한 사업도 영위하기 불가능했다. 또한 진실과 신용은 회사 설립 초기부터 추구해온 지향점이자 대한팔프 20여 년 역사를 관통해온 기업정신이었다.
미국 현지법인은 미국 은행들로부터 현지금융을 차입해 원료 구매 등에 사용하는 등 현지법인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며 착실히 성장했다. 본사와의 유대관계 개선 및 업무 협조, 공장에서의 제품 생산 공정 과정, 제품 유통과정 등도 공유했다. 또한 관련 산업의 국제동향과 기술 향상 촉진 및 정보교환을 위해 국내외에서 열리는 관련 박람회에도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이를 통해 생산 제품을 소개하고 기술 촉진과 정보교환은 물론 해외 바이어를 유치하는 기회로 활용했다. -